맨위로가기

누르 앗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누르 앗딘은 12세기 시리아를 지배한 장기 왕조의 아타베그로, 1146년 아버지 이마드 알딘 장기 사후 시리아 서부 지역을 물려받아 알레포의 태수가 되었다. 그는 이슬람 세력 결집과 십자군 세력 격퇴에 힘썼으며, 제2차 십자군을 격퇴하고 안티오키아 공국을 공격하여 영토를 확장했다. 다마스쿠스를 장악하여 시리아 대부분을 통일했으며, 비잔틴 제국과 동맹을 맺고 룸 술탄국과 대립했다. 이집트 파티마 왕조를 지원하기 위해 살라흐 앗딘을 파견했으나, 살라흐 앗딘의 독립으로 인해 갈등을 겪었다. 1174년 사망했으며, 그의 사후 살라흐 앗딘이 이집트를 병합하고 아이유브 왕조를 건국했다. 그는 수니파 이슬람 교육 및 문화 진흥에 기여했으며, 살라흐 앗딘이 이슬람 영웅으로 부상하는 데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18년 출생 - 다이라노 기요모리
    헤이안 시대 후기 무장이자 정치가인 다이라노 기요모리는 호겐의 난과 헤이지의 난 승리로 권력을 획득하고 무사 최초로 다이조다이진에 올랐으나, 권력 남용과 독재로 겐페이 전쟁을 초래하여 몰락, 그의 생애는 무사 사회 발전 기여와 폭력 및 독재라는 상반된 평가를 받는다.
  • 1118년 출생 - 마누일 1세 콤니노스
    마누일 1세 콤니노스는 12세기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로, 즉위 초 권력 다툼을 겪었으나 제위를 굳건히 하고, 십자군, 이탈리아 원정, 셀주크 투르크와의 전쟁 등 다양한 외교 관계를 맺으며 제국의 번영과 취약성을 동시에 드러냈다.
  • 1174년 사망 - 에버라드 데 바레스
    에버라드 데 바레스는 프랑스 출신의 기사로, 루이 7세의 신임을 받으며 1147년부터 1152년까지 템플 기사단의 제3대 총장을 지냈으나, 재정 문제와 내부 갈등으로 사임 후 수도원으로 은퇴했으며 제2차 십자군에 참여했다.
  • 1174년 사망 - 이준의
    이준의는 고려 무신정권 시기에 권력 남용과 사치로 백성들의 원성을 샀으며, 동생 이의방이 살해된 후 정균 등에 의해 형제와 함께 살해되었다.
  • 제2차 십자군 관련자 - 마누일 1세 콤니노스
    마누일 1세 콤니노스는 12세기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로, 즉위 초 권력 다툼을 겪었으나 제위를 굳건히 하고, 십자군, 이탈리아 원정, 셀주크 투르크와의 전쟁 등 다양한 외교 관계를 맺으며 제국의 번영과 취약성을 동시에 드러냈다.
  • 제2차 십자군 관련자 - 콘라트 3세
    콘라트 3세는 1138년 로마 왕으로 선출된 호엔슈타우펜 왕가의 첫 번째 독일 왕이었으며, 제2차 십자군에 참여했으나 실패하고 조카 프리드리히 3세를 후계자로 지명한 후 사망했다.
누르 앗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누르 앗딘 마흐무드 이븐 장기, 할라브 1146-1174 CE
누르 앗딘의 주화 (알레포 조폐국). 앞면: 두 명의 비잔틴 스타일 황제 모습이 정면을 향하고, 세 단계로 설정된 라바룸을 들고 있음; 별, 누르 앗딘 마흐무드의 이름과 칭호, 그리고 엉터리 그리스 전설이 필드에 있음. 뒷면: 그리스도가 정면을 향해 서 있음; 누르 앗딘 마흐무드의 칭호와 엉터리 그리스 전설이 필드에 있음.
칭호에미르
군주명알말리크 알아딜 아불카심 누르 앗딘 마흐무드 이븐 이마드 앗딘 장기
통치 기간1146년 – 1174년 5월 15일
알레포 통치 기간1146년 – 1174년 5월 15일
다마스쿠스 통치 기간1154년 – 1174년 5월 15일
계승 순서알레포의 에미르
다마스쿠스 계승 순서다마스쿠스의 에미르
선임자이마드 앗딘 장기
다마스쿠스 선임자무지르 앗딘 아바크
후임자아스살리흐 이스마일 알말리크
배우자이스마트 앗딘 카툰
자녀아스살리흐 이스마일 알말리크
왕조장기 왕조
부친이마드 알딘 장기
출생일1118년
사망일1174년 5월 15일 (56세)
사망 장소다마스쿠스, 셀주크 제국
매장 장소누르 앗딘 마드라사, 다마스쿠스, 시리아
종교수니 이슬람
이름 (아랍어)
이름 (로마자 표기)

2. 생애

1146년 아버지 징기가 암살된 후, 그의 영토를 형 사이프 앗딘과 분할하여 서쪽 시리아를 얻고 알레포의 총독이 되었다.[13] 아르투크 왕조 계통의 여러 정권, 부리드 왕조와 동맹을 맺어 안티오키아 공국과 영토 탈환을 노리는 에데사 백국을 비롯한 십자군과 싸웠다.[14][15] 부리드 왕조와의 동맹 당시 부리드 왕조 우누르의 딸인 이스마트 앗딘 아미나가 누르 앗딘과 결혼하였다.

1148년 제2차 십자군이 침입하였으나, 그들은 예루살렘 왕국과 친밀했던 다마스쿠스를 공격하여(다마스쿠스 포위전), 누르 앗딘과 다마스쿠스를 가깝게 만들었다.[16] 제2차 십자군이 성과 없이 철수한 후, 안티오키아 공국의 영토 대부분을 빼앗고, 이나브 전투에서 안티오키아 공 레이몽을 사로잡아 처형하였다.[17] 그 후, 에데사 백작도 사로잡혔고,[18] 누르 앗딘의 지배는 안정되었다. 1154년에는 다마스쿠스도 장기 왕조의 지배하에 들어가, 시리아 대부분을 지배하게 되었다.[19]

파티마 왕조가 예루살렘 왕국의 공격을 받고 지원을 요청하자, 누르 앗딘은 쿠르드족 장군 시르쿠(살라딘의 삼촌)를 이집트에 파견했다.[24][25] 1169년 살라딘이 이집트의 재상이 되어 이집트를 완전히 지배하게 되었다.[26][27] 그러나 살라딘은 사실상 독립하여, 1171년1173년 누르 앗딘의 십자군 영토 공격에도 참가하지 않았고,[28] 오히려 예루살렘 왕국이 양 세력의 완충 지대가 되는 것을 바랐다.[29] 1174년 누르 앗딘은 이집트 원정을 준비하고 있었으나, 5월에 열병(한 설에는 편도의 화농)으로 사망하였다.[30][31] 그의 아들이 뒤를 이었으나, 1185년 살라딘의 이집트 정권(아이유브 왕조)에 병합되었다.[32]

2. 1. 초기 생애와 십자군과의 전쟁

1146년 아버지 장기가 암살된 후, 누르 앗딘은 형과 영토를 분할해 시리아 서쪽 절반을 얻어 알레포의 태수가 되었다. 그는 이슬람 세력의 결집을 꾀해 셀주크 왕조의 여러 지방 정권과 동맹을 체결하고 안티오키아 공국과 영지 탈환을 목표로 하던 에데사 백국과 싸웠다. 1148년 제2차 십자군이 원정해왔으나, 그들은 예루살렘 왕국과 친하던 다마스쿠스를 공격해 누르 앗딘과 다마스쿠스를 가깝게 만들었다. 제2차 십자군이 성과를 얻지 못하고 철수한 후, 누르 앗딘은 안티오키아 공국의 영토 대부분을 빼앗고 레몽을 사로잡아 처형하였다. 그 후 에데사 백작도 사로잡아 누르 앗딘의 지배는 안정되었다.

1154년 다마스쿠스도 장기 왕조의 지배하에 들어가 시리아의 대부분을 지배하였다. 1164년 무렵부터는 십자군 세력과의 전투를 접고 동로마 제국의 황제 마누엘 1세 콤네누스와 동맹을 맺고 셀주크 왕조의 술탄과 다툼을 벌였다.

아나톨리아룸 술탄국은 자신들이 셀주크 왕조의 정통을 이어받은 것이라 인정했지만 아나톨리아에 대한 지배의 정통성에는 의문을 갖고 있기에 계속해서 대립하고 있었다. 특히 킬리지 아르슬란 2세와는 즉위 초부터 주변 아타베그 정권인 셀주크 왕조계의 세력과 대(對)비잔티움 제국 정책 등에서 대립하고 있었다. 킬리지 아르슬란이 동방진출을 기도하자 당시 시바스, 마라시, 말라티아 등의 동 아나톨리아 일대를 영유하던 셀주크계 아미르 가계였던 다니슈멘드 가문을 둘러싸고 다툼을 벌였다.

1173년 킬리지 아르슬란이 말라티아로 침공을 하자, 누르 앗딘은 말라티아의 영주였던 다니슈멘드의 즈눈을 후원하여 군대를 파견했다. 타우로스 산맥에서 룸 술탄국 군대의 퇴로를 끊고 포위했다. 킬리지 아르슬란은 누르 앗 딘이 제시한 강화 조약을 승낙하고 누르 앗딘은 죽을 때까지 말라티아에 자군을 주둔시키며 와지르를 파견하여 이 지역의 감독과 방위에 힘썼다.

이집트 파티마 왕조가 예루살렘 왕국의 공격을 받고 지원을 요청하자, 누르 앗딘은 쿠르드족 출신의 휘하 장군 시르쿠 (살라흐 앗 딘의 삼촌)를 이집트로 파견했다. 1169년 살라흐 앗딘이 이집트의 재상이 되어 이집트를 완전히 지배하에 두었다. 그러나 살라흐 앗딘이 사실상 독립하여 1171년, 1173년 누르 앗딘의 예루살렘 공격에도 참가하지 않고, 예루살렘을 자신과 누르 앗딘 세력의 완충지대로 존속하길 바랐다.[28]

2. 2. 시리아 통일과 룸 술탄국과의 대립

1146년 아버지 장기가 암살된 후, 형과 영토를 분할하여 시리아 서쪽 절반을 얻어 알레포의 태수가 되었다. 셀주크 왕조의 여러 지방 정권과 동맹을 체결하여 안티오키아 공국에데사 백국과 싸웠다. 1148년 제2차 십자군이 원정해왔으나, 그들은 예루살렘 왕국과 친하던 다마스쿠스를 공격해 누르 앗딘과 다마스쿠스를 접근하게 만들었다.[16] 제2차 십자군이 성과를 얻지 못하고 철수한 후, 안티오키아 공국의 영토 대부분을 빼앗고 이나브 전투에서 안티오키아의 레몽을 사로잡아 처형하였다.[17] 그 후 에데사 백작도 사로잡아[18] 누르 앗딘의 지배는 안정되었다. 1154년 다마스쿠스도 장기 왕조의 지배하에 들어가 시리아의 대부분을 지배하였다.[19]

1164년경부터 십자군 세력과의 전투를 접고 동로마 제국의 황제 마누엘 1세 콤네누스와 동맹을 맺고 룸 술탄국과 다툼을 벌였다.[20] 아나톨리아의 룸 술탄국은 킬리지 아르슬란 2세 즉위 당초부터 주변 아타베그 정권인 셀주크 왕조계의 세력과 대(對)비잔티움 제국 정책 등에서 대립하고 있었다. 킬리지 아르슬란이 동방진출을 기도하자 당시 시바스, 마라슈, 말라티아 등의 동 아나톨리아 일대를 영유하던 셀주크계 아미르 가계였던 다니슈멘드 왕조를 둘러싸고 다툼을 벌였다.[23]

1173년 킬리지 아르슬란이 말라티아를 침공하자, 누르 앗딘은 말라티아의 영주였던 다니슈멘드의 즈눈을 후원하는 군을 파견했다. 타우로스 산맥에서 룸 술탄국 군대의 퇴로를 끊고 포위했다. 킬리지 아르슬란은 누르 앗딘이 제시한 강화 조약을 맺을 수 밖에 없었고, 룸 술탄국 군대는 포로가 되어 타우루스 서쪽까지 후퇴하게 되었다. 누르 앗딘은 죽을 때까지 말라티아에 자군을 주둔시키며 와지르를 파견하여 이 지역의 감독과 방위에 힘썼다.[22]

2. 3. 이집트 원정과 살라딘의 등장

1163년, 파티마 왕조가 예루살렘 왕국의 공격을 받고 지원을 요청하자, 누르 앗딘은 자신의 쿠르드족 출신 장군 시르쿠(살라딘의 삼촌)를 이집트에 파견했다.[24][25] 1169년 살라딘이 이집트의 재상이 되어 이집트를 완전히 지배하게 되었다.[26][27] 그러나 살라딘은 사실상 독립하여 1171년1173년 누르 앗딘의 예루살렘 공격에도 참가하지 않았고, 예루살렘을 자신과 누르 앗딘 세력의 완충 지대로 존속시키기를 바랐다.[28][29]

1174년 누르 앗딘은 독립한 살라딘을 처벌하기 위해 이집트 원정을 준비하던 중 5월에 열병으로 사망했다.[30][31] 그의 아들 앗살리흐 이스마일이 뒤를 이었으나, 살라딘의 이집트 정권(아이유브 왕조)에 병합되었다.[32]

2. 4. 죽음과 유산

1174년 살라흐 앗딘이 사실상 독립하자, 그를 처벌하기 위해 이집트 원정을 준비하던 누르 앗딘은 그해 5월에 열병으로 사망했다.[30][31] 그의 아들 앗살리흐 이스마일이 뒤를 이었으나, 1185년 살라흐 앗딘의 이집트 정권에 병합되었다.[32]

제3차 십자군 등에서 이슬람의 영웅으로 유명한 살라흐 앗딘의 기반은 누르 앗딘이 만들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누르 앗딘은 용모가 수려하고 단정한 용맹한 전사로, 전장에서는 활과 화살통을 2개나 몸에 지니고 다니면서 솔선하여 전선에서 싸웠다고 전해진다. 또한 알레포, 다마스쿠스 등에 설립한 누리야 대학은 셀주크 왕조의 니자미야 대학과 함께 시리아 일대에 하나피 법학파 등 수니파 교학 진흥에 크게 공헌했다.

3. 종교 정책 및 문화 사업

살라딘예루살렘 함락과 제3차 십자군과의 전투로 인해 이슬람의 영웅으로 유명하지만, 그 기반은 누르 앗딘이 만들었다고 해도 좋다. 누르 앗딘은 용모가 수려하고 용감한 전사로, 전장에서는 활과 화살통 두 개를 몸에 지니고 앞장서서 전선에서 싸웠다고 전해진다.[33] 알레포, 다마스쿠스 등에 있는 누리야 학원(al-Madrasa al-Nūrīya)은 누르 앗딘이 창설했으며, 셀주크 왕조의 니자미야 학원과 함께 시리아 일대에서 하나피 법학파 등 수니파 교육 진흥에 크게 기여했다.[34]

모술의 빛의 모스크도 누르 앗딘의 명령에 따라 건축되었다고 전해진다.[35]

4. 평가

살라딘예루살렘 함락과 제3차 십자군과의 전투로 이슬람의 영웅으로 유명하지만, 그 기반은 누르 앗딘이 만들었다고 해도 좋다.[33] 누르 앗딘은 용모가 수려하고 용감한 전사로, 전장에서는 활과 화살통 두 개를 몸에 지니고 앞장서서 전선에서 싸웠다고 전해진다.[33] 또한 그가 알레포, 다마스쿠스 등에 창설한 누리야 학원(al-Madrasa al-Nūrīya)은 셀주크 왕조의 니자미야 학원과 함께 시리아 일대에서 하나피 법학파 등 수니파 교육 진흥에 크게 기여했다.[34]

모술의 빛의 모스크도 누르 앗딘의 명령에 의한 건축이라고 전해진다.[35]

참조

[1] 문서 Whelan Type II, 202-5; S&S Type 73; Album 1850.
[2] 웹사이트 Copper alloy fals of Nur al-Din Mahmud ibn Zengi, Halab, nd H. 1971.75.1 https://numismatics.[...] American Numismatic Society 2024-03-16
[3] 서적 The crusades through Arab eyes http://archive.org/d[...] New York : Schocken Books 1984
[4] 웹사이트 Copper alloy dirham of Qutb al-Din Mawdud ibn Zengi, al-Mawsil, 556 H. 1917.215.1000 https://numismatics.[...] American Numismatic Society 2024-03-16
[5] 서적 The atlas of the Crusades https://archive.org/[...] New York : Facts on File 1991
[6] 서적 The Fatimids 2: The Rule from Egypt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24-02-18
[7] 서적 The crusades http://archive.org/d[...] New York, Pantheon Books 1966
[8] 서적 (Harvnb 참조 필요) 2015
[9] 서적 (Harvnb 참조 필요) 1984
[10] 웹사이트 Reconstruction & Rehabilitation of the Al Nouri Complex in Mosul https://www.uia-arch[...] 2024-02-14
[11] 웹사이트 Remembering Nur ad-Din Zengi: The Light of Faith https://politicalper[...] 2021-03-06
[12] 문서 ヌールッディーンはザンギーからアタベク号を引き継いでいない
[13] 문서 柳谷 pp.152-7
[14] 문서 マアルーフ pp.258-60
[15] 문서 Ibn al-Athir pp.146-8
[16] 문서 マアルーフ pp.262-7
[17] 문서 Asbridge pp. 239-42
[18] 문서 Ibn al-Athir p.39-40
[19] 문서 マアルーフ pp. 267-72
[20] 문서 根津 pp.209-10
[21] 문서 Mecit p. 72
[22] 문서 Ibn al-Athir p. 213
[23] 문서 Mecit pp.68-72
[24] 문서 マアルーフ p. 280-99
[25] 문서 佐藤 p. 68-77
[26] 문서 佐藤 p. 81
[27] 문서 マアルーフ p. 299-300
[28] 문서 佐藤 p. 98, p. 100
[29] 문서 マアルーフ p. 307
[30] 문서 佐藤 p.114
[31] 문서 Ibn al-Athir p. 221
[32] 문서 佐藤 pp.161-6
[33] 문서 佐藤 p.60-1
[34] 문서 佐藤 pp. 61-2
[35] 문서 Ibn al-Atihr p.19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